재테크 기초: 복리 vs 단리 – 당신의 돈은 어떻게 불어나고 있나요?

 재테크를 막 시작한 분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개념이 있습니다.

바로 복리단리입니다. 이 두 가지는 돈이 자라는 ‘속도’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죠.

하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“단리는 뭐고, 복리는 왜 좋은 건가요?”라는 질문을 던집니다.
이 글에서는 복리와 단리의 차이, 계산 방식, 그리고 예시를 통해 실전 재테크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.



📌 단리란? (Simple Interest)

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매년 동일한 금액의 이자가 발생하므로 계산이 간단하지만, 자산이 빠르게 불어나지는 않습니다.

단리 계산 공식:
👉 총이자 = 원금 × 이율 × 기간

예시:
1,000만 원을 연 5% 단리로 3년간 예치하면?
→ 이자: 1,000만 × 0.05 × 3 = 150만 원
→ 총 수령액: 1,150만 원


📌 복리란? (Compound Interest)

복리는 ‘이자에도 이자가 붙는’ 방식입니다.
처음엔 단리보다 느리게 느껴지지만, 시간이 길어질수록 폭발적인 자산 증식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복리 계산 공식:
👉 최종금액 = 원금 × (1 + 이율)ⁿ
(n = 기간/횟수)

예시:
1,000만 원을 연 5% 복리로 3년간 예치하면?
→ 1년차: 1,000만 × 1.05 = 1,050만
→ 2년차: 1,050만 × 1.05 = 1,102.5만
→ 3년차: 1,102.5만 × 1.05 ≈ 1,157.6만 원

총이자:157.6만 원 → 단리보다 7.6만 원 많음




📈 복리의 마법, 시간과 함께 커진다

복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차이가 커집니다.

기간단리 수익복리 수익
3년150만 원157.6만 원
10년500만 원약 628만 원
20년1,000만 원약 1,653만 원

→ 20년 복리의 힘: 단리 대비 653만 원 차이 발생!


✅ 어떤 상황에 복리 vs 단리를 선택해야 할까?

  • 단리 상품: 대부분의 예·적금, 단기 대출 상품

  • 복리 상품: CMA, 연금저축, 펀드, ETF 장기투자 등

  • 꿀팁: 월복리/분복리처럼 복리 주기가 짧을수록 이자 효과가 더 커집니다!


💬 마무리하며

재테크의 시작은 복리와 단리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입니다.
복리는 ‘시간을 아군으로 만드는 전략’이자, 장기 투자자에게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.
지금 당장 여러분의 자산이 어떤 방식으로 굴러가고 있는지 점검해보세요!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미국 주식 투자의 장점과 단점

삼성전자 주가 전망 2025 상반기 분석

2025년 하반기 금리 인상 가능성은?